본문 바로가기
송분석의 입시용어사전

수능 절대평가, 상대평가의 명확한 의미①

by 송분석 2022. 1. 20.
728x90


수능 절대평가와 상대평가①:  절대평가와 상대평가의 정의와 수능


현행 수능 체제에는 국어, 수학, 영어, 탐구, 한국사, 제2외국어/한문 여섯 과목이 있습니다(물론 탐구와 제2외국어는 다시 세부과목으로 나뉩니다.).

이 중 국어, 수학, 탐구는 상대평가 대상 과목이고 영어, 한국사, 제2외국어는 절대평가 대상 과목입니다.

절대평가와 상대평가가 크게 어려운 개념은 아니나, 둘의 구분이 현행 입시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자세히 정리해 보려 합니다.


 

① 절대평가와 상대평가의 정의


절대평가란 기준치를 미리 정해두고, 평가 대상이 그 기준치에 부합하는지만을 평가합니다. 기준치를 '얼마나' 웃돌았는지는 평가 대상이 아니라는 의미입니다.

반면 상대평가란 특정 기준에 대한 부합 여부와 전혀 상관없이, 경쟁자(평가의 대상자)들 간의 상대적 수준 우위를 평가합니다. 내가 다른 경쟁자들에 비해 얼마나 잘하고, 얼마나 못하는지가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의미입니다. 내가 아무리 훌륭해도 남보다 못하면 무의미해지는 평가방식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물속에서 숨 참는 능력을 평가한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참가자들 중 1분 이상은 A급, 40초~1분은 B급, 30초~40초는 C급, 30초 미만은 D급으로 분류한다고 하면 이는 절대평가에 해당합니다.

이 경우 A급, B급, C급, D급 각 등급에 속한 경쟁자끼리는 무조건 같은 평가를 받게 됩니다. 목 뒤에 숨겨진 아가미가 있어서 15분 잠수하고 나온 사람이 있다고 해도 1분을 간신히 넘긴 다른 경쟁자와 똑같이 A등급으로 취급받게 된다는 것입니다.

이와 반대로 기준치 없이 기록 순으로 1위부터 30위까지 등수를 부여해서 등수에 따라 점수를 차등으로 부여한다고 하면 이는 상대평가에 해당합니다. 숨을 1시간 참은 대단한 사람이라고 해도 1시간 1초 참은 사랑이 29명 있다면 꼴찌에 불과하게 되는 것입니다.

입시로 눈을 돌려서 수능 최저 학력 기준이 적용되는 학생부 교과 전형을 예로 들어보자면,

1) 내신 성적 순으로 학생들을 차등 평가한다는 측면에서 상대평가적 성격이 훨씬 강하긴 하나
2) 수능 최저 학력 기준에 부합하지 않으면 1)에서의 성적이 무의미해진다는 측면에서

절대평가적 성격도 띄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② 수능 상대평가 과목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수능에서 국어, 수학, 탐구 영역은 상대평가 과목입니다. 본인의 원점수와 상관없이 다른 학생들보다 얼마나 잘 봤는지가 중요한 과목이라는 것입니다(반대로 영어, 한국사, 제2외국어는 다른 학생들에 대한 상대적 우위보다 본인의 원점수가 특정 기준치를 넘었는지가 중요하겠지요?).

국어와 수학은 원점수 상으로 100점, 탐구는 원점수 상으로 50점이 만점입니다.

상대평가 과목은 상위 4%, 11%, 23%, 40%, 60%, 77%, 89%, 96%를 기준으로 1등급~9등급까지 나누긴 합니다. 그러나 같은 등급 내에서도 상대적 우열을 가립니다.

이 과정에서 표준점수라고 하는 꽤 복잡한 점수 체계가 사용되는데, 도저히 간단히 설명할 자신이 없기 때문에 추후에 따로 다룰 예정입니다.

이어지는 글에서는 수능 절대평가 과목에 대한 설명과 함께 두 평가 방식의 활용 예시를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