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송분석의 입시용어사전

수능 최저 학력 기준의 명확한 정의

by 송분석 2022. 1. 14.
728x90


각 대학에서는 수시 모집 지원자들에게 최소한의 수능 성적을 요구하기도 합니다.

내신 성적과 학생부 내용이 아무리 좋아도, 최소한의 학습 능력을 갖추고 있는지 장담할 수 없는 노릇이니 수능 성적(등급)으로 한 번 더 필터링을 하겠다는 취지입니다.

이것이 흔히 '수능 최저', '수능 최저 등급', '최저 등급', '최저'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리는데 정확한 명칭은 '수능 최저 학력 기준'입니다.



아래는 수능 최저 학력 기준이 적용되는 2022학년도 경희대학교 학생부 종합 전형의 예시입니다.

출처: 경희대학교 2022학년도 수시 모집 요강

이 경우 고등학교 중간/기말고사에서 3년 내내 전과목 만점을 받아 내신 평균이 1.00인 학생이라고 해도 수능 국어, 수학, 영어, 탐구 중 상위 3개 과목의 등급 합이 4를 넘어가거나 한국사가 5등급 아래로 내려가면 한의예과에 입학할 수 없습니다.

아래는 반대로 수능 최저 학력 기준이 적용되지 않는 2022학년도 한양대학교 수시 전형의 예시입니다.

출처: 한양대학교 2022학년도 수시 모집 요강

이 경우 내신 성적이 충분히 좋다면, 수능에서 전과목 9등급을 받아도 합격합니다.



수능 최저 학력 기준 적용 여부와 강도는 철저하게 대학의 자율하에 결정되므로 학교, 학교, 전형마다 세부 내용이 다릅니다.

그러니 본인이 진학하고자 하는 대학교 홈페이지에 들어가 모집 요강을 필히 확인해야 합니다. 대부분의 대학이 4월 말 경에 수시 모집 세부 요강을 발표합니다. 매년 내용이 바뀌기 일쑤이니 꼭 다시 확인하는 편이 좋습니다.

※교육부에서 수능 최저 학력 기준을 가능한 완화하여 실시하라는 지침을 내렸고, 실제로 예전에 비해 많이 널널해졌습니다.



마지막으로 주의할 점이 하나 있습니다.

수능 최저 학력 기준이 적용되는 학교&학과의 경우 내신 성적뿐 아니라 수능 성적까지 어느 정도 챙겨야 하니, 애당초 수능 공부는 버리고 내신 관리만 똑바로 해서 수능 최저 학력 기준이 적용되지 않는 대학 위주로 노려보겠다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러나 수능 최저 학력 기준이 적용되지 않는 학교와 학과엔 소위 '내신러'라고 하는 내신 귀신들이 몰리기 마련입니다. 그 결과 당연히 합격권 내신 커트라인도 치솟습니다.

둘을 병행하는 것이 마냥 쉽지야 않겠지만, 수시 관련 지표(내신이나 학생부 등)가 압도적인 학생이 아니라면 수능과 내신을 함께 챙겨서 수능 최저 학력 기준이 있는 학교를 노리는 편이 더 합리적인 판단이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애당초 수능 준비를 하지 않는다고 해서, 1년 내내 내신 대비를 하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수능 최저 없는 학생부 교과만 노리겠다는 것은 솔직히 자기 합리화에 더 가깝습니다.

즉, 학생의 상황(내신 성적, 모의고사 성적, 학생부 상황, 목표 대학 등)에 따라 수능 최저 학력 기준 적용이 훨씬 유리할 수 있으니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