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송분석의 입시용어사전

다섯 가지의 수시 전형 종류

by 송분석 2022. 1. 13.
728x90


수시 모집은 내신 성적, 학생부, 논술, 면접 등 수능 성적 이외의 요소 위주로 학생을 평가 및 선발합니다.

수시 모집을 크게 분류하면 학생부 교과 전형, 학생부 종합 전형, 논술 전형 세 가지로 나뉘는데 조금 더 자세히 분류하면 다섯 가지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다섯 가지 전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학생부 종합 전형


교과(내신 성적), 생기부(학교 생활 기록부), 면접, 자소서(자기소개서) 등을 골고루, 말 그대로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전형입니다. 2024학년도 입시(2021년 기준 고1)부터는 자소서가 빠집니다. 

흔히 '학종'이라고 줄여 부릅니다.


2. 학생부 교과 전형


교과 성적, 즉, 내신 성적 위주로 평가하는 전형입니다. 100% 내신 성적만 반영하는 학교가 주를 이루지만 내신에 면접 점수를 더해서 평가하는 학교도 있고 심지어 비교과까지 일부 반영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어찌됐건 내신 성적의 영향이 절대적인 전형입니다.


3. 기회 균등 전형


상대적으로 교육 사각지대에 있을 가능성이 높은 학생만을 선발 대상으로 삼는 전형입니다.

보훈 전형, 농어촌 전형, 기초생활 수급자/차상위 계층 전형, 한부모가족 전형, 특성화고 졸업 전형, 장애인 전형, 탈북민 전형 등이 이에 해당하며 선발 방식은 학생부 교과 전형이나 학생부 종합 전형과 같습니다(간혹 정시 선발도 있습니다).

선발 방식이 따로 있는 전형이 아니라 선발 대상이 따로 있는 전형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4. 논술 전형


뻔하지요. 각 대학에서 자체적으로 출시하는 논술 고사 성적 위주로 평가하는 전형입니다.

먼 과거에는 지독하게 어려워서 제시문이나 문제의 내용을 이해조차 하지 못하고 나오는 학생도 많았습니다. 그러나 현재는 출제 범위가 고등학교 교육 과정 내로 제한되어 나름 인간적인 난이도로 나옵니다.

내신과 학생부 관리에 자신없는 학생들이 대거 지원하기 때문에 경쟁률이 높지만, 마땅히 지원할 전형이 없어서 지원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허수가 많은 전형이기도 합니다.


5. 실기 전형


예체능 계열 입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을 지원 분야의 실제적 기술과 능력으로 평가하는 전형입니다.미술, 체육, 음악 등 다양합니다(기회 균등 전형과 마찬가지로 정시 선발도 있습니다.)



큰 틀에서 수시 전형을 다섯 가지로 나누어 설명 드렸습니다.

그러나 각 대학마다 전형의 이름, 내신 성적 반영 과목&방식, 논술 고사 출제 범위, 수능 최저 학력 기준 적용 여부 등 세부 사항이 전부 상이합니다.

※과거에는 적성 고사라고 해서, 대학 자체 시험으로 학생을 선발하는 전형이 하나 더 있었으나 대입 간소화 정책으로 폐지되었습니다.

중요한 것은 희망 학교 희망 학과의 모집 요강을 미리 확인하여 본인에게 가장 유리한 전형을 선택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보통 4~5월경 각 대학이 세부 수시 모집 요강을 발표하니 이 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