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회 균형(고른 기회) 전형을 가장 쉽게 설명하는 글
0.
2009년에 기회 균형 전형이라고 하는 것이 대한민국 대입 제도에 도입되었습니다. 장애인이나 농어촌 거주 학생 혹은 한부모 가족 지원 대상자 등 교육 사각지대에 있어서 학업에 매진할 수 있는 기회가 상대적으로 적을 여지가 많은 수험생들을 위한 특별 전형입니다.
전형 이름이 말하는 바 그대로 사회적 약자에게도 기회를 균형 있게 부여하자는 취지의 전형이며 기회 균등 전형 혹은 고른 기회 전형이라고도 부릅니다.
취지가 취지인 만큼 당연히 정원 외 모집이 많이 이루어집니다(이 문장이 와닿지 않는 분들은 아래 두 링크를 통해 정원 외 모집에 대한 개념을 잡고 오시길 추천드립니다.).
대학 정원 외 모집이 도대체 무엇일까①
정원 외 모집이 대체 무엇일까?: 정원 외 모집의 정의와 대상 본인이 진학하고자 하는 대학의 모집 요강을 잘 살펴보는 것은 성공하고자 하는 수험생이 반드시 가지고 있어야 할 습관입니다. 대
analysisong.tistory.com
대학 정원 외 모집이 도대체 무엇일까②
대학 정원 외 모집이 대체 무엇일까?: 정원 외 모집의 취지, 전형, 모집 규모 지난 글에서 정원 외 모집이 무엇이며, 어떤 법에 근거하는지 또 어떤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지 소개했습니다. 세부
analysisong.tistory.com
1. 기회 균형 전형의 모집 규모는?
정원 외 모집이 꽤 많이 이루어지는 것은 사실이지만, 정원 내 모집 인원이 더 많습니다. 즉 대부분의 대학이 정원 내 기회 균형 전형으로도, 정원 외 기회 균형 전형으로도 상당히 많은 인원을 모집합니다.
2022학년도 기준으로 기회 균형: 정원 내 모집이 29,103명, 기회 균형: 정원 외 모집이 24,443명의 학생을 선발했습니다. 총 53,546명으로 대입 총 선발 인원의 무려 15.5%나 됩니다.
수시 기회 균형 전형도 있고 정시 기회 균형 전형도 있지만 수시 모집 규모가 압도적입니다.
2. 대학에 따라 형태가 천차만별이다!
대부분의 대학에 기회 균형 전형이 존재하고, 모두 '교육 기회 불평등 해소'라는 대의를 공유하지만 지원 자격과 전형의 상세 내용은 대학마다 천차만별입니다. 그러니 당연히 희망 대학의 모집 요강을 확인하여 본인이 자격을 충족하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기회 균형 전형을 구분/분리하는 방식도 대학마다 상이하기 때문에 더욱 조심할 필요가 있습니다.
말이 조금 복잡한데, 가령 A대학은 장애인, 농어촌 거주 학생, 한부모 가족 지원 대상자, 국가 보훈 대상자, 특수 교육 대상자를 구분하지 않고 '기회 균형 전형'이라는 커다란 전형으로 한 데 묶어서 선발하는 반면 B대학은 기회 균형 전형을 다시 세세하게 나눠서 장애인 전형, 농어촌 거주 학생 전형, 한부모 가족 지원 대상자 전형, 국가 보훈 대상자 전형, 특수 교육 대상자 전형으로 각기 따로 선발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2022학년도 입시를 예시로 들자면 한양대학교가 전자, 경희대학교가 후자에 해당합니다.
3. 지원 요건을 갖추었다고 무작정 만만하게 볼 전형이 아니다!
동일 학교, 동일 학과 기준으로 대부분의 경우에 기회 균형 전형이 일반 전형보다 여유로운 것은 사실입니다.
그래서 본인이 기회 균형 전형의 대상자라고 결과를 무작정 낙관하는 경우가 왕왕 있습니다. 그러나 기회 균형 전형의 대상이 되는 학생이 결코 적지 않으며 2~3명 이하의 인원을 선발하는 경우가 아주 많기 때문에 경쟁률이 치솟아 변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즉, 넣으면 붙는 그런 전형은 절대로 절대로 절대로 아니기 때문에 지원하기 전에 많은 고민을 해보는 편이 좋습니다.
'송분석의 입시용어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학 정원 외 모집이 도대체 무엇일까② (0) | 2022.02.21 |
---|---|
대학 정원 외 모집이 도대체 무엇일까① (0) | 2022.02.17 |
지역 인재 VS 지역 균형 (0) | 2022.02.14 |
지역 균형 전형을 가장 쉽게 설명하는 글 (0) | 2022.02.08 |
지역 인재 전형을 가장 쉽게 설명하는 글 (0) | 2022.02.07 |
댓글